TOP
뇌전증

20년, 영유아 20,000명의 원인치료
성모아이한의원의 수많은 치료경험을 통해 만들어진 결과입니다.

틱장애/ADHD

20년, 영유아 20,000명의 원인치료
성모아이한의원의 수많은 치료경험을 통해 만들어진 결과입니다.

발달장애

20년, 영유아 20,000명의 원인치료
성모아이한의원의 수많은 치료경험을 통해 만들어진 결과입니다.

난치성간질

20년, 영유아 20,000명의 원인치료
성모아이한의원의 수많은 치료경험을 통해 만들어진 결과입니다.

소아일반진료

20년, 영유아 20,000명의 원인치료
성모아이한의원의 수많은 치료경험을 통해 만들어진 결과입니다.

병원소개

20년, 영유아 20,000명의 원인치료
성모아이한의원의 수많은 치료경험을 통해 만들어진 결과입니다.

상담 및 예약

20년, 영유아 20,000명의 원인치료
성모아이한의원의 수많은 치료경험을 통해 만들어진 결과입니다.

커뮤니티

20년, 영유아 20,000명의 원인치료
성모아이한의원의 수많은 치료경험을 통해 만들어진 결과입니다.

멤버쉽

20년, 영유아 20,000명의 원인치료
성모아이한의원의 수많은 치료경험을 통해 만들어진 결과입니다.

성인두뇌진료

20년, 영유아 20,000명의 원인치료
성모아이한의원의 수많은 치료경험을 통해 만들어진 결과입니다.

뇌량무형성증
전형적으로 대뇌의 좌우 반구를 연결하는 신경 섬유의 집합체인 뇌량(Corpus callosum)이 없거나 불완전하게 형성되고 환자의 약 80%에서 증증의 정신지체가 보고되는 질환
01
뇌량무형성증이란?
1979년 스위스의 유전학자인 Albert Schinzel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된 질환으로
뇌의 두 개의 반구를 연결하여 주는 ‘뇌량’이라고 불리는 섬유다발이 불완전하게 형성되거나 결손을 보이는 질환입니다.


뇌량(뇌들보, corpus callosum)

백질의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하는 부분으로, 양측 반구의 정보 전달 및 통합에 관여하는 매우 중요한 기관으로,
임신 12주에 생기기 시작하여 임신 18~20주에 완성됩니다.
-> 최근에는 산전 초음파에서 기관이 제대로 생성 되었는지 여부가 가려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02
뇌량 무형성증의 예후
단순형(다른 질환이 동반되지 않는 경우, 50%)

단순형 완전 결실
단순형 부분 결실

복합형(다른 질환 동반, 50%)

뇌량 무형성증 외에 Dandy-walker 증후군, 뇌반구간 낭종, 수두증, 지방종 및 피질 기형 등이 동반.
03
뇌량무형성증주요증상
종양발생부위 종양발생에 의한 증상
머리와 얼굴 대두증(macrocephalt): 전두부가 넓고 돌출, 후두골 돌출 등
양안격리증(ocular hypertelorism): 두 눈 사이가 멂
내사시(convergent strabismus), 시신경위축(optic atrophy), 망막색소변성
작고 짧으며 콧등이 넓고 콧구멍이 위를 향하고 있는 편
귀의 위치 이상
구순구개열 10% 이상에서 보임.
손가락과 발가락 다지증: 손가락 및 발가락 수가 정상에 비해 많음.
합지증(syndactyly):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붙어 있는 경우
소화기계 서혜부 탈장, 제대탈장
생식기계 요로하열(hypospadias), 잠복고환
성장 50%에서 성장지연이 나타나며 이로 인해 정상인과 비교했을 때 작은 키를 보임.
중추신경계 뇌량무형성, 지주막낭종, 중증의 정신지체, 뇌전증, 근긴장저하증, 대뇌피질의 위축
언어 중증의 언어장애
심장 선천성 심장기형
뇌량무형성증
성모아이한의원 치료
현재 뇌량무형성증의 약물치료방법은 없는 상황이며, 경련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항경련제를 복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항경련제는 단순한 억제기능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발달을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

‘아이의 건강한 발달’이 치료의 목표가 되어야합니다.
남들보다 약하게 태어난 아이에게 면역증강을 통해 잔병치레를 줄이고 정상발달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식물도 작은 씨앗으로 약하게 태어난 새싹들이 있습니다. 물리치료, 언어치료실도 새싹을 튼튼하게 해주지는 못합니다.
비바람이 불더라도 새싹이 꺾이지 않고 이겨낼 수 있도록 화학비료가 아닌 천연거름을 주어야 합니다.
T브레인 병행치료
1 T-브레인 개인별 평가 시스템
HBTS & INDP 평가
(좌·우뇌 두뇌유형평가)
LIPA 평가
(두뇌 정보처리 과정평가)
두뇌 사고유형과 신경학적 지배성 유형을 평가하여 효율적인 학습 방법을 추천해줄 뿐만 아니라 직업 적성, 학교 적응 문제나 대인 관계, 부모 자녀 관계 등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고안된 평가 프로그램 23가지 신경생리학적 기능에 대해 질문하고
그 중 위험군이 될수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평가 프로그램
2감각통합훈련
감각통합훈련 (Interactive Metronome: IM)은 컴퓨터에서 생성되는 비트음에 훈련자가 정확하게 반응하도록 고안된 목적 지향적인 훈련 프로그램입니다.
훈련 참가자는 헤드폰을 통해서 들리는 가이드 사운드에 손과 발이 주어진 운동 계획대로 일치된 동작을 하도록 지시받게 됩니다.
이러한 훈련의 결과 신경 네트워크는 자극을 받게 되고 반복해서 훈련을 함으로써
신경 가소성(Neuronal Plasticity)의 변화가 생기며 이러한 신경학적 변화는 장기간 저장되게 됩니다.
3청지각훈련(LIFT)
4뉴로피드백(자기조절훈련)
환자의 두뇌에 환자의 상태에 따라 훈련하고자 하는 부위가 결정되면 그 부위에 전극을 부착합니다.
전극을 통하여 환자의 상태가 치료자의 컴퓨터 화면에 뇌파의 형태로 나타나게 되며
환자의 두뇌가 치료 목표로 하는 뇌파를 얼마나 잘 조절하느냐에 따라 피드백이 주어지게 됩니다.
뇌파 훈련은 반복해서 하게 되면 오랜 기간 저장되는 뇌의 기전에 의해서 (long term potentiation) 저장되어
자동적으로 스스로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있습니다.
프로그램의 종류 적용 대상
Neurology & Motor Program 틱장애,뚜렛증후군, PTSD
Addiction Program 인터넷 및 게임 중독, 약물 중독, 도박 및 알코올 중독 등
Sleep Disorder Program 쉽게 잠들지 못하거나, 아침에 일어나도 개운하지 않은 경우
Chronic Pain Program 만성 통증,원인 불명의 두통이나 편두통, 늘 몸이 쑤시고 편안하지 않은 경우
Mood & Behavir Program 신체적인 불안표출, 정서적인 불안심리, 대인관계/사회성 부족, 짜증스럽거나, 좌절감 및 우울증
Learning Ability Program 일시적인 슬럼프, 시험불만, 학업부진
5 시지각훈련
  • 안구 추적 기술 (Eye Tracking) - Pursuit 따라보기, 추종 운동
    안구가 글을 따라가거나 대상을 추적하는 능력과 필요할 때 안구를 고정시키는 기술입니다. 추적 기술이 부족하면 읽던 위치를 놓치거나 천천히 읽게 됩니다.

  • 안구 위치 유지 기술 (Eye Position Maintenance)
    일반적으로 글을 읽을 때 4분의 1초 정도로 고정 이미지를 잡고 진행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에 문제가 있을 경우 읽기가 느리거나, 안절부절 못하고, 지나치게 눈을 깜박거리고 비비며, 피로감이 쉽게 옵니다. 글자의 순서를 혼동하거나 위치를 놓치고 단어의 순서대로 읽지 않게 됩니다.

  • 이향 운동 (Convergence and Divergence)
    두 눈을 동시에 안쪽으로, 바깥쪽으로 모으는 것을 말하며 가까운 쪽을 볼 때 그리고 멀리 있는 대상을 볼 때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Eye Focusing 기술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책을 읽을 때 반드시 과제에 집중하기 위해서 양 눈이 안으로 모아져야 합니다. 이 기술이 부족하면 책을 오래 읽지 못하고, 책 읽기를 피하거나 집중 유지 시간이 짧은 것으로 보입니다. 읽던 위치를 놓치거나 작은 글자를 빠뜨리거나 글자를 혼동하게 됩니다.

  • 눈 손의 협응 혹은 시-운동 통합, 공간적 거리감 (Eye-hand Coordiation or Visual-Motor Integration, Depth Perception)
    눈을 통해 들어온 정보를 모니터 하면서 손으로 연결하는 즉, 협응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 기술이 부족하면 연필 잡기가 어설프고 단어 사이의 간격이 일정치 않고 글을 쓸 때 줄이 맞지 않거나 자세가 좋지 않습니다.